전자책 미리보기 실행중입니다.
My콘텐츠

제 5장. 자청의 질문들

진화심리학적으로 방어기제가 존재하는 이유

북마크(메모)




진화심리학적으로 방어기제가 존재하는 이유 


 


 


자청의 질문 1. 


"편도체가 너무 크게 활성화되면 생존에 불리하잖아. 방어기제가 진화심리학적으로 

존재하는 이유는 모르핀처럼 진통제 역할을 하는게 아닐까?"

 



편도체는 뇌의 변연계에 위치한 아몬드 모양의 기관으로, 감정 처리와 공포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작은 구조물은 우리 뇌의 경보 시스템 역할을 한다. 외부 자극을 빠르게 감지하고 위험 신호를 보내 즉각적인 반응을 유도한다. 어두운 골목에서 갑자기 큰 소리가 들리면 편도체가 활성화되어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땀이 나는 등 위기에 대비하기 위한 신체 반응이 일어난다.



하지만 이 경보 시스템이 너무 민감하게 작동하면 문제가 생긴다. 편도체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불안과 공포를 느끼게 된다. 이는 마치 연기가 나지 않는데도 경보기가 계속 울리는 것과 같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과다 분비되어 면역 체계가 약화되고, 심혈관 질환, 불면증, 우울증 등 다양한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여기서 우리 뇌의 놀라운 능력이 발휘된다. 바로 방어기제다. 방어기제는 프로이트가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불편한 현실이나 감정으로부터 자아를 보호하는 무의식적인 심리적 메커니즘이다. 질문한 것처럼 모르핀과 같이 '정신적 진통제' 역할을 한다.



방어기제의 작동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신체의 진통 시스템을 생각해보자. 우리 몸에 통증이 생기면 엔도르핀이라는 물질이 분비되어 고통을 완화한다. 이와 유사하게, 방어기제는 심리적 고통이 발생했을 때 작동하여 그 강도를 줄여준다.



예를 들면 '부정(denial)'이라는 방어기제는 위협적인 현실을 일시적으로 인식하지 않게 한다. 이는 마치 강한 진통제가 급성 통증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과 비슷하다. '억압(repression)'은 고통스러운 기억이나 감정을 무의식 속으로 밀어 넣어 의식에서 제거한다. 이는 만성적인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약한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합리화(rationalization)'라는 방어기제가 있다. 이는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에 대해 그럴듯한 이유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중요한 시험에서 떨어진 학생이 "어차피 이 시험은 내가 꼭 합격해야 하는 시험이 아니었어"라고 생각한다면, 합리화는 통증의 원인을 다르게 해석하여 심리적 고통을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어기제들은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생존 전략이다. 지나친 불안과 스트레스는 판단력을 흐리게 하고 필요한 행동을 방해할 수 있다. 방어기제는 이러한 부정적 감정을 완화시켜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심리적 여유를 제공한다.



하지만 모든 약물이 부작용을 가질 수 있듯이, 방어기제도 과도하게 사용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속적인 '부정'은 현실을 직면하지 못하게 하여 적절한 대처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심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기 인식과 방어기제의 균형 잡힌 사용이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편도체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한 불안과 공포는 우리의 생존에 불리할 수 있다. 이때 작동하는 방어기제는 '정신적 진통제'로서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고 자아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우리가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해주는 뇌의 놀라운 능력 중 하나다. 앞으로 뇌과학과 심리학의 발전으로 이러한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질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더 효과적으로 정신 건강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