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프롤로그
1 프롤로그 미리보기
02 목차
1 목차 미리보기
03 0단계. 준비운동
1 왜 '마지막' 인가 미리보기
2 책 활용법 미리보기
04 1단계. 결심 (100명이 결심한다)
1 자기계발, 왜 해요? 미리보기
2 자기계발에도 단계가 있다
3 동기부여 독립하기
05 2단계. 행동 (50명이 행동한다)
1 아는 것과 하는 것
2 목표 설정 독립하기
3 시간관리 독립하기
4 미라클 모닝 독립하기
5 독서 독립하기
6 명상 독립하기
7 실행력 독립하기
06 3단계. 습관 (10명이 습관으로 만든다)
1 습관 독립하기
2 멘탈관리 독립하기
07 4단계. 시스템 (1명이 시스템을 장착한다)
1 바보야! 문제는 시스템이야
2 자기계발 5가지 절대법칙
08 마지막 이야기 (당신이 그 1명 이기를)
1 진짜 자기계발 vs 가짜 자기계발
2 남들보다 100배 잘 사는 법
3 자기계발 강박증
4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뻔한 소리
5 이 책을 읽어 준 당신에게
09 에필로그
1 에필로그
1단계. 결심(100명이 결심한다)
자기계발, 왜 해요?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은 자기계발을 하고 있거나 시작하려고 마음을 먹었을 겁니다. 그런데요. 여러분, 자기계발 왜 하세요? 남들이 하니까? 안 하면 뒤처지는 것 같아서? 자기계발을 하는 자신 만의 명확한 이유를 대답하지 못한다면 그 자기계발은 결코 오래가지 못할 것이고 자존감 상실이라는 결말로 끝날 겁니다.(하면 할수록 부족함을 느끼기 때문)
우리는 자기계발을 하는 이유에서도 ‘행복’이라는 단어를 꺼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돈을 벌고 여행을 가고 책을 읽고 취미를 즐기고 하는 모든 것들은 결국 우리의 ‘행복한 삶’을 위해서입니다. 그렇다면 ‘행복한 삶’이란 무엇일까요. 이 질문에 대한 명확한 답이 있었다면 이 세상은 이렇게 혼란스러워지진 않았을겁니다.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행복은 욕구 충족이다’. 우리가 지금 당장 행복해지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지금 올라오는 욕구를 충족시키면 됩니다. 배고프면 밥을 먹고 졸리면 자고 놀고 싶으면 놀고 책 읽고 싶으면 책을 읽으면 됩니다. 혹자는 말합니다. 하루 하루를 매일 행복으로 채워 나가면 그 하루가 모여 행복한 인생이 된다고…뭐 100%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행복한 삶, 장기적인 행복과 만족감을 위해서는 우리의 욕구를 조금 자세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수없이 많은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욕구들을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묶어보면 생존 욕구, 관계 욕구, 성장 욕구가 있습니다. 저는 장기적인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욕구에도 우선순위가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개인으로서 더 나은 인간이 되려고 하는 성장 욕구를 중심으로 관계 욕구와 생존 욕구를 조절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성의 힘으로 감정과 본능을 컨트롤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스스로에 대한 가치관, 자존감, 자신감, 즉 ‘중심’이 제대로 잡혀야 건강한 인간관계가 가능하고 결핍성이 매우 강한 생존욕구 통제가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중심, 성장 욕구는 어떻게 충족시킬 수 있을까요?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만이 성장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걸까요?
성장 욕구의 핵심은 ‘더 나아지는 것’입니다. 우리는 ‘우리가 스스로 더 나아지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더 나아지는 삶을 살 것이다’라고 느낄 때 성장 욕구는 온전히 충족되고 우리는 행복해집니다.
네 맞습니다. 자기계발은 결국 성장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가장 좋은 ‘행동’입니다. 자, 이제 여러분은 더 나아질 겁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네요. 도대체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더 나아지는 거죠? 왼쪽? 오른쪽? 뒤? 앞? 아니면 대각선? 도대체 어디가 더 나아지는 방향인가요? 여기서 정말 중요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우리는 자기계발을 할 때 ‘더 나아짐’의 기준, 방향을 세워놓지 않습니다. 그냥 합니다. 그래서 그 기준을 타인에 맞추고 사회에 맞춥니다. 남들이 새벽 4시 30분에 일어난다고 하면 새벽 4시 30분에 못 일어나는 자기 자신을 자책합니다. 남들이 일주일에 한 권 읽는다고 하면 한 달에 한 권도 못 읽는 자신을 자책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자기계발은 끝 을 향해 달려갑니다. (자존감 상실) 기준을 사회에 맞추기도 합니다.이 사회는 자본주의 사회죠.
그래서 ‘돈을 더 벌어야 나는 더 나아지는 것’이라는 평생 충족되지 못할 기준을 세운 채 나아 갑니다. 그리고 결말은…뻔하죠. 요즘 비즈니스와 자기계발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엮이는 이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 우리는 각자 ‘더 나아짐의 기준’이 필요합니다. 그 기준을 처음부터 명확하고 뚜렷하게 세워서 출발할 필요는 없습니다. 희미하더라도 ‘내가 세운 기준’이면 됩니다. 이 책이 기준을 만들고 그 기준을 향해 달려가는 모든 과정을 안내할 겁니다. 믿고 따라와 주세요
프드프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공유하거나 유출하는 행위는 저작권의 침해에 해당됩니다.
(저작권법 제125조, 제125조, 제126조, 제136조 등)
계정을 누군가와 공유하거나, 프드프의 내용을 다른 형태로 변경 혹은 재가공하는 경우 또한 포함됩니다.
다만 구매한 본인만 읽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