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머리쓰기, 리워드 구성
리워드 구성은 매출의 폭을 크게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후원자들은 창작자가 설정해둔 리워드 구성 내에서 리워드를 고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구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자연스레 매출이 결정될 수밖에 없다. 와디즈의 경우, 한 계정으로 여러 개의 리워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텀블벅의 경우 한 계정으로 하나의 리워드밖에 선택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더더욱 크다. 이해를 돕기 위해, 패스트푸드 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햄버거 세트의 예시를 들자면 다음과 같다.

현시점 기준, 맥도날드 빅맥의 가격은 단품 4,600원, 세트 5,900원이다. 여기서 세트는 빅맥 단품(4,600원) + 탄산음료(1,300원) + 감자튀김(1,000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트 구성의 정가를 계산하면 6,900원이지만, 세트가격의 판매가는 5,900원으로, 10%가 넘는 할인율을 보이며 세트를 구성하고 있다.
세계적인 대기업 맥도날드가 왜 굳이 세트를 만들어 손해까지 보면서 세트를 파는지 생각해본다면, 당연히 세트가 마진율이 더 높기 때문이다. 모두 단품으로 구매하는 것보다 할인율이 더 높기 때문에 사람들은 심리적으로 세트에 더 눈길이 가기 마련이다.
감자튀김과 탄산음료의 가격 또한 트릭에 가깝다. 이들의 원가는 정말 낮은 편이지만, 대놓고 탄산음료 1,300원, 감자튀김 1,000원이라는 가격을 매겨놓는다. 단품이 안 팔리는 걸 알면서도 왜 굳이 좁은 메뉴판에 지분을 할애하며 가격을 명시해놓을지를 생각해보면, 마진율이 높은 메인리워드, 빅맥 세트를 더 잘 팔리게 하기 위함이다. 리워드 구성도 이에 착안하여 구상한다면, 더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다.
1. 서브 리워드
여기서 서브 리워드란 맥도날드의 탄산음료와 감자튀김을 뜻한다. 더 구체적으로, 화투의 예시를 들어 설명하자면, 세트 구성은 빅맥 세트, 화투는 빅맥 단품, 화투판은 탄산음료, 감자튀김이 될 것이다. 화투 프로젝트 당시, 화투의 제작사는 1곳밖에 없었지만, 화투판의 제작사는 6곳으로 난이도가 훨씬 어려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투판이라는 서브리워드를 굳이 추가한 이유는 아래의 3가지였다.
a. 집에 미리 구매해놓은 화투가 있다면 화투는 굳이 살 필요가 없기에 화투판 단독리워드도 수요가 있을 것이다.
b. 서브리워드를 추가함으로써 추가적인 매출을 노릴 수 있고, 화투 입문자라면 화투판까지 같이 살 가능성이 높다.
c. 화투라는 메인리워드로는 엄청난 차별성이 없으니, 기발한 서브리워드로 차별화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이 세가지 예상은 적중하여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내 화투 프로젝트 중 매출 1위를 달성할 수 있었다. 핵심은 메인리워드와 잘 어울리는 서브리워드를 구성하는 것, 서브리워드가 사고 싶어 메인리워드까지 구매하게 되는 매력적인 아이템을 찾는 것이다.
2. 세트 구성

위의 사진은 화투 펀딩을 할 때 실제로 상세페이지에 삽입되었던 리워드 리스트 사진이다. 사진을 보면, 얼리버드 가격은 아래와 같다.
종류 | 가격 | 판매량 | |
메인 | 화투 단일 | 15,900원 | 80 (매진) |
서브 | 화투판 단일 | 16,900원 | 50 |
세트 | 화투 + 화투판 | 30,000원 | 450(매진) |
세트 가격의 정가는 15,900 + 16,900 = 32,800원이지만, 약 10%의 할인율을 제공하며 판매를 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후원자들에게는 시각적으로 할인되고 있다는 효과를 바로 보이며, 세트 구성의 판매율을 압도적으로 높일 수 있었다.
서브 리워드를 추가하는 이유는 서브 리워드를 더 많이 팔기 위해서가 아니다. 오히려 서브 리워드를 추가한 세트 구성의 판매를 더 높이기 위함이다.
세트 구성 | 메인리워드 | 서브리워드 |
|
| |
5,900원 | 4,600원 | 2,600원 |
| ||
30,000원 | 15,900원 | 16,900원 |
3. 제한수량
리워드 구성을 마무리했다면, 마지막 단계가 남았다. 바로 제한수량을 설정하는 일이다. 제한수량은 첫째, ‘00개 남음’ 이라는 문구를 통해 후원자들의 심리를 자극하기 위해, 둘째, 혹시 모를 초과수요를 대비하기 위해 사용된다. 첫 번째 이유는 마트에서 몇 개 남지 않은 음식을 볼 때, 구매할 마음이 없다가도 생기는 심리와 유사하다. 후원자들은 몇 개 남지 않은 리워드를 볼 때, 자연스레 구매 욕구가 생기기 마련이다.
두 번째 이유는 리워드 생산수량이 한정되어 있을 경우에 해당된다. 일례로 2021년 상반기에 런칭한 계영배 프로젝트는, 잔을 맡아서 생산해주시는 작가님께서 개인 사정으로 주어진 시간 안에 200개의 잔밖에 만들지 못할 것 같다고 언지를 주셨고, 그에 따라 모든 리워드의 제한수량을 200개에 맞추어 설정해야만 했다. 이 경우, 제한수량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몇몇 후원자들은 리워드를 받을 수 있지만, 몇몇 후원자들은 리워드를 받을 수 없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펀딩을 오픈하기 전에 제작사와 긴밀한 협의 하에 생산수량에 대한 확실한 답을 받아놓아야 한다.
Part.2에서 재고관리하는 법을 설명할 때 자세히 적겠지만, 두 플랫폼 모두 제한수량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와디즈에서는 PD 컨설팅 혜택을 받을 경우에 PD님을 통해서만 변경할 수 있으며, 수량을 추가하거나 뺄 수 있다. 텀블벅에서는 창작자 탭에서 창작자가 추가적인 리워드 카드를 오픈하며 추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만들어진 리워드 카드에서 수량을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 수량을 빼는 것은 불가능하고 추가하는 것만 가능하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