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들어가기 전에
1 목차
02 1장. 스포츠 약학이란?
1 스포츠 약학이란?
03 2장. 도핑 금지 물질이란?
1 도핑 금지 약물이란? 금지 약물로 정하는 기준 3가지
2 도핑 금지 물질 분류 3가지
04 3장. 상시금지 물질 S1~S5
1 "저는 약쟁이입니다." 약투 운동과 AAS 도핑
2 "근육질인데, 배불뚝이가 있어요?" 팔룸보이즘과 hGH
3 금지 '약물'에서 금지 '물질'로 EPO와 혈액도핑
4 '타이네롤' 아니고 '~올, ~롤' 기관지 확장제
5 "여유" 있는 "남자"들은 잘못되었습니다.
6 '마이오스타틴'의 '마이오'도 모르면 '근손실'에 대해 얘기하지 마세요.
7 소변볼 때만 쓰는 약이 아닌 이뇨제
05 4장. 경기 기간 중 금지 물질 S6~S9
1 "수도없이" 들었던 감기약 도핑 괴담의 주인공 "슈도에페드린"
2 "애들은 가라" 강남 아이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공부 잘하는 약
3 나라에서 허락한 유일한 마약‘은 없다. 코카인 및 마약류
4 '대포주사'와 부상투혼은 멋있지 않습니다.
06 5장. 특정 종목 금지 물질 P1
1 면접 때 너무 떠는 사람들이 보면 도움이 될 글
07 6장. 보건의료인 대상 도핑 방지 교육
1 보건의료인 대상 도핑 방지 교육이 중요한 이유 3가지
2 치료목적사용면책(TUE) 신청 기준 4가지
08 [ 부록 ] 한약이나 생약성분의 도핑과의 연관성
1 한약이나 생약 성분을 포함한 건강기능식품, 보충제, 의약품의 도핑과의 연관성
2장. 도핑 금지 물질이란?
도핑 금지 약물이란? 금지 약물로 정하는 기준 3가지 |
우선 금지약물이란 무슨 기준으로 정하고 어떤 약물들을 말하는 걸까요?
금지약물로 정하는 기준은 크게 3가지를 들 수 있습니다.
세계 도핑 방지기구(WADA)에서는 운동선수가 사용해서는 안 되는 약물과 방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금지목록은 매년 정기적으로 개정되고, 필요시에는 수시로 개정되죠.
위와 같은 기준에 맞춰서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하게 시키는 효력을 가지고 있거나 선수의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약물이나 방법을 선정 목록화하여 매년 9월에 발표 하고 있는데 이것을 ‘금지목록 국제표준’이라고 하며, 그 이듬해인 1월1일부터 효력이 발생 하게 됩니다.
금지약물은 KADA(한국 도핑 방지 위원회) 홈페이지 내에서 검색이 가능합니다.
*단, 국내 식약처에서 허가받은 국내 의약품에 한하여 정보를 제공하며 생약 함유 의약품은 제외됩니다.
프드프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공유하거나 유출하는 행위는 저작권의 침해에 해당됩니다.
(저작권법 제125조, 제125조, 제126조, 제136조 등)
계정을 누군가와 공유하거나, 프드프의 내용을 다른 형태로 변경 혹은 재가공하는 경우 또한 포함됩니다.
다만 구매한 본인만 읽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