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프롤로그
1 저자 소개
2 들어가기에 앞서
02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1 프레임
2 고프레임 (고자세)
3 저프레임 (저자세)
4 신뢰감
5 본능과 이성
6 피자이론
7 내적프레임
8 매력의 3요소
9 객관적 가치
10 주관적 가치
11 가능성제시
12 직접 가능성제시
13 간접 가능성제시
14 미해결 과제
15 예측 가능성
16 죄책감 이론
17 대체자
18 메타신뢰감
19 등급이론
20 프레임의 7단계
21 절대적 가치
22 리바운드 릴레이션쉽
23 카운터 펀치
24 이중모션
25 자존심 이론
03 Part 2. 이별의 원인 분석
1 저프레임
2 저신뢰감
3 상황의 문제
4 Part 2를 마치며
04 추천 칼럼
1 상담사 추천 칼럼
카운터 펀치
"그 사람은 저를 너무 좋아하지만, 자신의 상황이 여의치 않다고 말했어요."
"우리가 장거리이기 때문에 너무 힘들다고 말했어요. 더 이상 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고 말했어요."
"부모님의 반대 때문에 우리는 이루어질 수 없다고 했어요."
이런 식으로 상황을 이유로 이별을 통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케이스들을 들여다보면, 단순 상황의 문제로 헤어지는 케이스들은 생각보다 별로 없습니다. 프레임과 신뢰도 문제가 겹치면서 헤어지는 경우가 십중팔구 입니다.
상대방의 입장에선 이별을 통보할 명분이 없습니다. 명분이 있어야 자신도 죄책감을 어느 정도 덜 수 있고, 상처를 덜 주고 헤어짐으로써 좋은 남자, 혹은 좋은 여자로 남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내담자들은 너무나 순수하게 상대방의 말을 믿고 이를 돌리기 위해 함께 이겨 나가자고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케이스들의 대부분은, 사실 상대방은 내담자의 프레임의 문제도 존재했기 때문에, 이런 문자에 더더욱 마음이 사라지게 됩니다. 쉽게 생각하면 됩니다. 만약 여러분이 장거리 연애 때문에 힘든데, 상대방이 원빈이라면? 헤어지고 싶은 마음은 들지 않을 것입니다. 프레임이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는, 상황 탓으로 돌리면서 헤어진 상대를 지적함으로써 프레임을 끌어와야 합니다. 결국 상황을 못 이겨냈다는 건 상대방의 잘문이 크기 때문입니다. 내담자는 관계를 유지하려 했는데, 상대방은 상황을 들이대면서 끝을 냈습니다. 이 확실한 명분으로 상대방에게 강하게 나가야 합니다.
프드프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공유하거나 유출하는 행위는 저작권의 침해에 해당됩니다.
(저작권법 제125조, 제125조, 제126조, 제136조 등)
계정을 누군가와 공유하거나, 프드프의 내용을 다른 형태로 변경 혹은 재가공하는 경우 또한 포함됩니다.
다만 구매한 본인만 읽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