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프롤로그
1 저자 소개
2 들어가기에 앞서
02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1 프레임
2 고프레임 (고자세)
3 저프레임 (저자세)
4 신뢰감
5 본능과 이성
6 피자이론
7 내적프레임
8 매력의 3요소
9 객관적 가치
10 주관적 가치
11 가능성제시
12 직접 가능성제시
13 간접 가능성제시
14 미해결 과제
15 예측 가능성
16 죄책감 이론
17 대체자
18 메타신뢰감
19 등급이론
20 프레임의 7단계
21 절대적 가치
22 리바운드 릴레이션쉽
23 카운터 펀치
24 이중모션
25 자존심 이론
03 Part 2. 이별의 원인 분석
1 저프레임
2 저신뢰감
3 상황의 문제
4 Part 2를 마치며
04 추천 칼럼
1 상담사 추천 칼럼
절대적가치
“내담자님은 진짜 프레임 신뢰감 관리가 막장이네요. 그런데도 6개월이나 관계가 이어지고, 헤어진 뒤에도 관계가 이어진 것을 보면 ‘절대적 가치’를 갖고 계신 것 같습니다. 이런 케이스는 100% 재회가 됩니다.”
말 그대로, 내담자가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 경우, 상대는 내담자를 쉽게 벗어나지 못한다. 아무리 프레임 신뢰감을 많이 날린 케이스라 하더라도 '절대적 가치'를 지닌 케이스의 경우, 재회 확률이 높은 경우들이 있다.
이 절대적 가치라는 것은 '상대방 인식에서 내담자가 가진 특정 매력을 가진 사람을 만날 확률이 매우 적은 상태'를 말한다. 말이 어려우니 쉽게 설명해 보자.
절대적 가치 4가지
① 이상형으로 가졌던 예술성을 상대방이 갖고 있는 경우
② 이상형으로 가졌던 작고 귀여운 체구와 얼굴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
③ 39살 남성이 어린 여자를 만나고 싶었는데, 다신 만날 수 없는 22살의 여성을 만난 경우
④ 우연히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만나 운명 같은 동행을 1개월 하고, 한국에 돌아와 사랑을 나눈 경우
이 절대적 가치를 지닌 경우, 내담자가 프레임과 신뢰감을 조금만 회복해도 상대방은 크게 흔들리며 쉽게 재회할 수 있다. 내가 심각하게 프레임과 신뢰감을 날렸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관계가 이어진다면, 나에겐 '무언가 절대적 가치가 있다'라고 생각해 봐도 좋다.
프드프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공유하거나 유출하는 행위는 저작권의 침해에 해당됩니다.
(저작권법 제125조, 제125조, 제126조, 제136조 등)
계정을 누군가와 공유하거나, 프드프의 내용을 다른 형태로 변경 혹은 재가공하는 경우 또한 포함됩니다.
다만 구매한 본인만 읽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