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프롤로그
1 저자 소개
2 들어가기에 앞서
02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1 프레임
2 고프레임 (고자세)
3 저프레임 (저자세)
4 신뢰감
5 본능과 이성
6 피자이론
7 내적프레임
8 매력의 3요소
9 객관적 가치
10 주관적 가치
11 가능성제시
12 직접 가능성제시
13 간접 가능성제시
14 미해결 과제
15 예측 가능성
16 죄책감 이론
17 대체자
18 메타신뢰감
19 등급이론
20 프레임의 7단계
21 절대적 가치
22 리바운드 릴레이션쉽
23 카운터 펀치
24 이중모션
25 자존심 이론
03 Part 2. 이별의 원인 분석
1 저프레임
2 저신뢰감
3 상황의 문제
4 Part 2를 마치며
04 추천 칼럼
1 상담사 추천 칼럼
프레임의 7단계
"헤어진 남자친구가 연락을 해오면 기분이 나빴습니다. 하지만 그 친구가 아트라상에 상담 받은 건지, 점차 프레임을 높이자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한 번 이론 연습 겸 만나볼까요?
근데 진짜 신기한 게 상대가 프레임을 높이니까 정말 관심도 없다가, 한 번쯤 봐도 되겠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론이 진짠가 봐요. 그 친구도 상담 받은 게 아니겠죠? 물론 그 친구랑 재회할 마음은 없습니다"
2011년 처음 내가 제시한 이론이다. 사람의 프레임 정도를 7단계로 나누어, 내담자가 본인의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왔다.
혐오 – 무시(연락오면 기분좋진 않음) – 무감각(관심없음) – 호기심 – 호감 – 사랑 – 집착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 개념이다. 다만, 옛날 후기를 보던 내담자들이 종종 이 프레임의 7단계를 질문하는 분들이나 후기에서 인용하는 분들이 있기 때문에, 개념 정리를 해 두었다.
이별 상황에서 상대가 나를 완전히 무시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이 때, 프레임을 높이는 전략을 쓰거나 지침문자를 보내면 '호기심' '호감'으로 올라갈 수 있다. 프레임을 높이고 일정한 공백을 두는 것, 잘 지내는 모습 등을 보이면 역시나 단계가 올라갈 수 있다.
프드프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공유하거나 유출하는 행위는 저작권의 침해에 해당됩니다.
(저작권법 제125조, 제125조, 제126조, 제136조 등)
계정을 누군가와 공유하거나, 프드프의 내용을 다른 형태로 변경 혹은 재가공하는 경우 또한 포함됩니다.
다만 구매한 본인만 읽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