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미리보기 실행중입니다.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더 보기프레임의 7단계

01 프롤로그

미리보기

1  저자 소개

미리보기

2  들어가기에 앞서

02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미리보기

1  프레임

미리보기

2  고프레임 (고자세)

미리보기

3  저프레임 (저자세)

미리보기

4  신뢰감

미리보기

5  본능과 이성

미리보기

6  피자이론

미리보기

7  내적프레임

미리보기

8  매력의 3요소

미리보기

9  객관적 가치

미리보기

10  주관적 가치

미리보기

11  가능성제시

미리보기

12  직접 가능성제시

미리보기

13  간접 가능성제시

미리보기

14  미해결 과제

미리보기

15  예측 가능성

미리보기

16  죄책감 이론

미리보기

17  대체자

미리보기

18  메타신뢰감

미리보기

19  등급이론

미리보기

20  프레임의 7단계

미리보기

21  절대적 가치

미리보기

22  리바운드 릴레이션쉽

미리보기

23  카운터 펀치

미리보기

24  이중모션

미리보기

25  자존심 이론

03 Part 2. 이별의 원인 분석

미리보기

1  저프레임

미리보기

2  저신뢰감

미리보기

3  상황의 문제

미리보기

4  Part 2를 마치며

04 추천 칼럼

미리보기

1  상담사 추천 칼럼



프레임의 7단계





"헤어진 남자친구가 연락을 해오면 기분이 나빴습니다. 하지만 그 친구가 아트라상에 상담 받은 건지, 점차 프레임을 높이자 호기심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한 번 이론 연습 겸 만나볼까요? 


근데 진짜 신기한 게 상대가 프레임을 높이니까 정말 관심도 없다가, 한 번쯤 봐도 되겠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론이 진짠가 봐요. 그 친구도 상담 받은 게 아니겠죠? 물론 그 친구랑 재회할 마음은 없습니다"

 



2011년 처음 내가 제시한 이론이다. 사람의 프레임 정도를 7단계로 나누어, 내담자가 본인의 상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왔다.




혐오 ​– 무시(연락오면 기분좋진 않음) – 무감각(관심없음) – 호기심 – 호감 – 사랑 – 집착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 개념이다. 다만, 옛날 후기를 보던 내담자들이 종종 이 프레임의 7단계를 질문하는 분들이나 후기에서 인용하는 분들이 있기 때문에, 개념 정리를 해 두었다.



이별 상황에서 상대가 나를 완전히 무시하는 상황일 수 있다. 이 때, 프레임을 높이는 전략을 쓰거나 지침문자를 보내면 '호기심' '호감'으로 올라갈 수 있다. 프레임을 높이고 일정한 공백을 두는 것, 잘 지내는 모습 등을 보이면 역시나 단계가 올라갈 수 있다.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