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프롤로그
1 저자 소개
2 들어가기에 앞서
02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1 프레임
2 고프레임 (고자세)
3 저프레임 (저자세)
4 신뢰감
5 본능과 이성
6 피자이론
7 내적프레임
8 매력의 3요소
9 객관적 가치
10 주관적 가치
11 가능성제시
12 직접 가능성제시
13 간접 가능성제시
14 미해결 과제
15 예측 가능성
16 죄책감 이론
17 대체자
18 메타신뢰감
19 등급이론
20 프레임의 7단계
21 절대적 가치
22 리바운드 릴레이션쉽
23 카운터 펀치
24 이중모션
25 자존심 이론
03 Part 2. 이별의 원인 분석
1 저프레임
2 저신뢰감
3 상황의 문제
4 Part 2를 마치며
04 추천 칼럼
1 상담사 추천 칼럼
죄책감 이론
"제 전여자친구는 저프레임이었습니다. 처음엔 사랑했지만, 만난지 한 달 뒤부터는 불타지가 않았습니다. 그리고 결국 1년만에 헤어지게 되었습니다.
여자친구는 마지막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실 오빠가 중간에 여자 만났던 거 알고 있어. 나는 알면서도 말하지 않았어. 정말 쓰레기야 오빠는. 적어도 반성하고 죄책감 갖고 살았으면 좋겠어. 난 평생 원망하며 살 거야"
그 착하던 여자친구가 저에게 담담하게 화를 냈습니다. 저는 1년이란 시간이 지났지만, 이 시간이 잊히지 않습니다. 지금도 전여자친구에게 미안함이 들고 많이 생각이 납니다. 제가 좀 더 잘해줬어야 했다는 생각도 들고, 다시 만나면 정말 행복하게 해주고 싶습니다. 어떻게 연락하면 좋을까요? 연락할 염치가 없습니다"
만약 이 케이스에서 여자가 남자에게 마지막에 매달렸거나, 자신도 잘못이 있어서 헤어진 거라 말한다면?
남자의 합리화를 도와주는 꼴이 된다. 남자는 죄책감을 갖지 않게 되고, 여자를 쉽게 잊을 수 있게 된다. 저자세를 보이지 않으면서 죄책감을 심어주는 행위는 프레임을 높일 수 있다. 죄책감을 주면, 이것이 프레임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게 '죄책감 이론'이다.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이론이다.
아트라상의 손수현 상담사가 이 이론을 심화시켰다. 상대방에게 심어준 죄책감의 시간이 길어지면, 나의 프레임은 상승하게 된다. 재회 확률이 낮게 진단 되는 케이스 중에 이런 경우가 있다. '헤어질 때 상대방이 잘못했음에도, 상대로 하여금 내 잘못이라고 합리화 여지를 줬을 때' 말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예를 같이 보자.
남자가 바람을 피운 상황이다. 여자 쪽에선 이별을 막기 위해서 상대방을 이해한다고 말하며, 오히려 내 문제도 있었다고 말을 한다. 이때, 남자는 울면서 고개를 끄덕인다. 시간이 지날수록 남자는 자신의 마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 '그래 내 잘못이 아니었어. 여자가 매력 없게 행동했으니 내가 바람피운 거야'라고 생각하며 합리화가 된다. 이 합리화는 마음을 편하게 해 주며, 나의 프레임을 무력화시킨다. 상황이 악화 된다.
이 죄책감 이론 또한 죄책감 심기 + 프레임 높이기로 결합되어야 하며, 죄책감 심기 + 저프레임 행동을 해선 안 된다. 예외적으로, 상대방이 죄책감을 심하게 느끼는 타입의 경우 후자가 되어도 상관없다.
프드프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공유하거나 유출하는 행위는 저작권의 침해에 해당됩니다.
(저작권법 제125조, 제125조, 제126조, 제136조 등)
계정을 누군가와 공유하거나, 프드프의 내용을 다른 형태로 변경 혹은 재가공하는 경우 또한 포함됩니다.
다만 구매한 본인만 읽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