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프롤로그
1 저자 소개
2 들어가기에 앞서
02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1 프레임
2 고프레임 (고자세)
3 저프레임 (저자세)
4 신뢰감
5 본능과 이성
6 피자이론
7 내적프레임
8 매력의 3요소
9 객관적 가치
10 주관적 가치
11 가능성제시
12 직접 가능성제시
13 간접 가능성제시
14 미해결 과제
15 예측 가능성
16 죄책감 이론
17 대체자
18 메타신뢰감
19 등급이론
20 프레임의 7단계
21 절대적 가치
22 리바운드 릴레이션쉽
23 카운터 펀치
24 이중모션
25 자존심 이론
03 Part 2. 이별의 원인 분석
1 저프레임
2 저신뢰감
3 상황의 문제
4 Part 2를 마치며
04 추천 칼럼
1 상담사 추천 칼럼
예측 가능성
“저는 항상 남자친구에게 이별을 말하면, 남자친구는 점차 더 잘해 주었고 매달렸습니다. 항상 그랬기 때문에 이번에도 불만이 생겨 이별을 말하였습니다. 하지만 남자친구는 더 이상 저를 잡지 않았고, 핸드폰 번호도 바꿔버렸습니다. 저는 패닉이 걸려 남자친구 집에 찾아가 미친 듯이 매달렸습니다.”
사람들은 항상 세상을 '개념화' 하며 살아간다. 논리나 분석을 싫어하는 사람들조차도 본능적으로 사람들을 판단하고, 세상의 법칙을 생각하며 살아간다. '내 여자친구는 원래 이래' '내 여자친구는 xx를 안 좋아할 거야' 등도 개념화에 속한다. 마찬가지로 상대방은 나에 대해 '예측'을 무의식적으로 하고 있다.
상대방이 생각했을 때, 내가 저프레임인 상황이라고 해보자. 상대가 나에게 헤어지자고 말하는 경우, 상대는 내가 힘들어할 것이고, 매달릴 것이라고 예측할 것이다. 하지만 내가 상대방에게 예측하지 못한 행동 패턴을 보이는 경우, 상대방에겐 미해결 과제가 생기며 동시에 내 프레임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내가 저프레임이었다 하더라도, 예측가능성을 깰 경우 상대는 나에게 매달리게 될 수 있다.
프드프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공유하거나 유출하는 행위는 저작권의 침해에 해당됩니다.
(저작권법 제125조, 제125조, 제126조, 제136조 등)
계정을 누군가와 공유하거나, 프드프의 내용을 다른 형태로 변경 혹은 재가공하는 경우 또한 포함됩니다.
다만 구매한 본인만 읽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