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미리보기 실행중입니다.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더 보기예측 가능성

01 프롤로그

미리보기

1  저자 소개

미리보기

2  들어가기에 앞서

02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미리보기

1  프레임

미리보기

2  고프레임 (고자세)

미리보기

3  저프레임 (저자세)

미리보기

4  신뢰감

미리보기

5  본능과 이성

미리보기

6  피자이론

미리보기

7  내적프레임

미리보기

8  매력의 3요소

미리보기

9  객관적 가치

미리보기

10  주관적 가치

미리보기

11  가능성제시

미리보기

12  직접 가능성제시

미리보기

13  간접 가능성제시

미리보기

14  미해결 과제

미리보기

15  예측 가능성

미리보기

16  죄책감 이론

미리보기

17  대체자

미리보기

18  메타신뢰감

미리보기

19  등급이론

미리보기

20  프레임의 7단계

미리보기

21  절대적 가치

미리보기

22  리바운드 릴레이션쉽

미리보기

23  카운터 펀치

미리보기

24  이중모션

미리보기

25  자존심 이론

03 Part 2. 이별의 원인 분석

미리보기

1  저프레임

미리보기

2  저신뢰감

미리보기

3  상황의 문제

미리보기

4  Part 2를 마치며

04 추천 칼럼

미리보기

1  상담사 추천 칼럼



예측 가능성





“저는 항상 남자친구에게 이별을 말하면, 남자친구는 점차 더 잘해 주었고 매달렸습니다. 항상 그랬기 때문에 이번에도 불만이 생겨 이별을 말하였습니다. 하지만 남자친구는 더 이상 저를 잡지 않았고, 핸드폰 번호도 바꿔버렸습니다. 저는 패닉이 걸려 남자친구 집에 찾아가 미친 듯이 매달렸습니다.”

 



사람들은 항상 세상을 '개념화' 하며 살아간다. 논리나 분석을 싫어하는 사람들조차도 본능적으로 사람들을 판단하고, 세상의 법칙을 생각하며 살아간다. '내 여자친구는 원래 이래' '내 여자친구는 xx를 안 좋아할 거야' 등도 개념화에 속한다. 마찬가지로 상대방은 나에 대해 '예측'을 무의식적으로 하고 있다.



상대방이 생각했을 때, 내가 저프레임인 상황이라고 해보자. 상대가 나에게 헤어지자고 말하는 경우, 상대는 내가 힘들어할 것이고, 매달릴 것이라고 예측할 것이다. 하지만 내가 상대방에게 예측하지 못한 행동 패턴을 보이는 경우, 상대방에겐 미해결 과제가 생기며 동시에 내 프레임이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내가 저프레임이었다 하더라도, 예측가능성을 깰 경우 상대는 나에게 매달리게 될 수 있다.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