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미리보기 실행중입니다.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더 보기직접 가능성제시

01 프롤로그

미리보기

1  저자 소개

미리보기

2  들어가기에 앞서

02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미리보기

1  프레임

미리보기

2  고프레임 (고자세)

미리보기

3  저프레임 (저자세)

미리보기

4  신뢰감

미리보기

5  본능과 이성

미리보기

6  피자이론

미리보기

7  내적프레임

미리보기

8  매력의 3요소

미리보기

9  객관적 가치

미리보기

10  주관적 가치

미리보기

11  가능성제시

미리보기

12  직접 가능성제시

미리보기

13  간접 가능성제시

미리보기

14  미해결 과제

미리보기

15  예측 가능성

미리보기

16  죄책감 이론

미리보기

17  대체자

미리보기

18  메타신뢰감

미리보기

19  등급이론

미리보기

20  프레임의 7단계

미리보기

21  절대적 가치

미리보기

22  리바운드 릴레이션쉽

미리보기

23  카운터 펀치

미리보기

24  이중모션

미리보기

25  자존심 이론

03 Part 2. 이별의 원인 분석

미리보기

1  저프레임

미리보기

2  저신뢰감

미리보기

3  상황의 문제

미리보기

4  Part 2를 마치며

04 추천 칼럼

미리보기

1  상담사 추천 칼럼



직접 가능성제시


 



“길을 지나가는데 한 잘생긴 남자가 저에게 말을 걸었습니다. 저는 장난스러운 헌팅을 싫어하기 때문에, 잘생기긴 했지만 거절했습니다. 하지만 뒤쫓아와서 정말 정중하고 진심 어리게 첫눈에 반했다고 말했습니다. 진심이 느껴졌고 번호를 주게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직접적으로 가능성 제시를 한다는 뜻이다. '너에게 관심 있어요', '좋아해요' 등 뭐가 되든 좋다. 프레임이 너무나 명확히 높은 상황, 객관적으로 내담자의 가치가 상대방보다 높은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보통 상황에선 이런 직접 가능성 제시는 잘 쓰이지 않는다. 상대가 부담스러워할 수도 있고, 프레임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대방의 자존감이 낮은 경우, 혹은 내 가치가 월등히 높은 경우엔 직접 가능성 제시를 해야 한다. 만약 간접적으로만 표현한다면, 상대방은 '이 사람이 나한테 마음이 있을 리 없어'라고 자신 없게 생각하여 튕겨져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리】 


이별 상황에서 나의 프레임이 매우 높다면, 직접 가능성제시를 해도 된다.



직접 가능성제시 지침①

"두 달 동안 그리웠어"


직접 가능성제시 지침 

"오랜만에 시간 내줘. 밥 먹자"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