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프롤로그
1 저자 소개
2 들어가기에 앞서
02 Part 1. 재회심리학 25가지 용어 총정리
1 프레임
2 고프레임 (고자세)
3 저프레임 (저자세)
4 신뢰감
5 본능과 이성
6 피자이론
7 내적프레임
8 매력의 3요소
9 객관적 가치
10 주관적 가치
11 가능성제시
12 직접 가능성제시
13 간접 가능성제시
14 미해결 과제
15 예측 가능성
16 죄책감 이론
17 대체자
18 메타신뢰감
19 등급이론
20 프레임의 7단계
21 절대적 가치
22 리바운드 릴레이션쉽
23 카운터 펀치
24 이중모션
25 자존심 이론
03 Part 2. 이별의 원인 분석
1 저프레임
2 저신뢰감
3 상황의 문제
4 Part 2를 마치며
04 추천 칼럼
1 상담사 추천 칼럼
주관적 가치
다른 말로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주관적 가치는 매우 상대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평소에 굉장히 매력 없다고 저평가 받는 남자라고 할 지라도, 어떤 여자에게는 굉장히 가치가 높아 보이고 정말 목숨까지 바칠 수 있는 감정을 주는 남자일 수도 있다.
만약 어떤 한 남성이 한 여성에게 '객관적 가치'가 밀리는 상황이다. 이때, 이 남성이 주관적 가치가 높은 모습(프레임 높이기)을 보인다면, 이 여성의 뇌에서는 무의식적으로 남성에게 매력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이 여성은 주관적으로 이 남자를 자신보다 높다고 인식하게 된다. 주변 사람들은 여자에게 '니가 아깝다'라고 말하지만, 이 여성은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남자가 소개팅에 나갔는데 예쁜 여자 모델을 만났다고 가정해 보자. 이 때 남자들은 세가지 반응을 보일 수 있다.
남자1.
"와… 저 모델을 처음 만나서 긴장돼서 말이 잘 안 나오네요...(진심 긴장)"
⇒ 프레임 하락
남자2.
"오 모델 일하시는구나. 제 주변에 모델 하는 친구들이 많은데 뭔가 내적 친밀감이 드는데요?(익숙하다는 듯)"
⇒ 프레임 상승 or 유지
남자3.
"모델이요? 그거 돈이 일정하게 안 벌려서 불안하지 않으세요"
⇒ 상대를 깎아내려 기분 나쁘게 하는 게 프레임 상승이 아니다. 이건 그냥 사회성 없는 등신일 뿐이다.
프드프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공유하거나 유출하는 행위는 저작권의 침해에 해당됩니다.
(저작권법 제125조, 제125조, 제126조, 제136조 등)
계정을 누군가와 공유하거나, 프드프의 내용을 다른 형태로 변경 혹은 재가공하는 경우 또한 포함됩니다.
다만 구매한 본인만 읽는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